이번 2023년 8월 24일에 일본에서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하였습니다.
이문제로 여러가지 의견이 나오고 있는 중 괜찮다는 찬성의 의견도 많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는 이 문제에서 우리가 걱정하지 않아도 될만한 이유를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작성 해보았습니다.
하지만 과학은 100%란 없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신뢰보다는 너무 걱정하여 일상생활에 지장가지 않도록 현 사태가 어느정도인지 파악하는것은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오래전일이라 까먹으신분들도 있겠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란 2011년 일본에서 쓰나미가 발생 되어 지진까지 이어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했었습니다. 냉각 시스템이 파괴되었고, 원자로 노심이 과열됬기 때문에 발전소 안의 용수가 고농도 방사성 물질로 오염되었습니다. 이후 도쿄전력은 계속해서 원자로 연료봉을 식히기 위해 냉각수를 투입해 왔기 때문에 원전에서 오염수가 생성되고 있었습니다. 이 오염수의 양은 1000개가 넘는 탱크에 저장된 상태입니다. 무게로 변환하면 130만톤의 오염수가 저장되고 있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023년 8월24일 일본은 결국 저장된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게 됩니다. 8월 24일부터 17일간 7800톤 양의 오염수를 1차 방류할 예정이며, 2024년 3월까지 3만 1200톤의 오염수를 방류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방류하여 2051년까지 완벽히 방류한다는 일본의 주장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하는 이유
일본의 후쿠시마 주변에는 이제 더이상 오염수를 보관할 수 있는 용량이 한계에 다다른 상태였기 때문에, 오염수를 어떻게든 방류를 해야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방법중에 방류를 택하게 된 것인데, 처음부터 오염수를 방류하는 목적은 아니였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오염수를 정화해서 고체화를 시키는 방법, 땅속에 묻는 방법, 대기로 방출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들이 논의가 됬었습니다. 최종 후보로는 대기로 방출하는 방법과, 해양으로 방출하는 방법이 마지막으로 후보에 올라왔었으나 대기로 방출하게 되는경우 오염수를 추적해서 관리하는것이 어렵고 피폭량이 더 높다는 결론이 나왔기 때문에 해양 방류가 선택되었습니다.
오염수는 다 핵족 제거 설비인 ‘알프스’를 거쳐서 탱크에 보관 시킨 후 알프스로 제거하지 못한 삼중 수소는 바닷물에 희석을 해서 농도를 조절하게 됩니다. 이후 해저 터널을 통해서 1km 넘는 바다로 방류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이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는데 바로 ‘알프스로 제거하지 못한 삼중수소’ 입니다. 삼중수소는 방사성 원소이기 때문에 바다에 방류하게되면 우리의 일상에 필연적으로 침범할 수 있기때문에 이점을 가지고 논란이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 없다?
이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인체 건강에 직접적인 문제는 없다는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방사선이 위험한 것은 맞습니다. 방사선은 강한 에너지를 가진 작은 입자가 몸안의 DNA를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실 방사선은 늘 우리와 함께 있었습니다. 음식과 몸속의 칼륨에도 40의 방사선 원소가 들어있고 사람은 매초 4000Bq/초 의(73kg 기준) 방사선을 내뿜고 있죠. 당연히 땅과 우주에도 무수히 많은 방사선이 날아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체 건강에 문제가 생길만한 방사선은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없는 수준입니다.
이번에 방류되는 후쿠시마 오염수에는 세슘이 리터당 1만 개 ( 100 Bq/초 (1L당) )의 방사선을 내뿜고 있습니다. 알프스 정화 후에는 100개까지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삼중수소는 정화되지 않습니다만 문제가 되는 수치가 아니라고 합니다. 때문에 핵과 관련된 전문가들은 이번 방류사건에 대해서 비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IAEA(국제원자력기구)에서는 일본의 알프스(다핵종제거설비)의 방사성 핵종의 제거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갔엇고, 조건에 만족하면 방류 할 수 있습니다. 즉 국제원자력기구에서 조건을 만족 하였기 때문에 방류가 진행되게 되었습니다.

방류하더라도 해산물을 먹어도 될까?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부터 2013년까지 배출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로 매우 높은 농도의 오염수가 그대로 방류 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현재 해산물을 잘 먹고 있고 이것으로 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산물을 먹어도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습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지속적으로 해양 방사능과 해산물에 대한 방사능을 측정하고 있지만 2011년 사고 전후로도 농도에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해산물을 먹어도 된다고 합니다.
마치며
이번글은 비교적 문제가 없다는 찬성쪽에 가까운 의견이였습니다. 하지만 오염수 방류는 많은 논란과 이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제 커뮤니티와 국내 주민들의 안전과 환경을 위한 신중한 검토와 모니터링이 필요 하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해산물을 먹는데 있어서는 해당 지역이 안전한 수준으로 수확되고 있는 것을 검증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아무래도 평소 일상처럼 지낼 것 같습니다. 물론 해산물 먹을때 조금 꺼림칙 할 수는 있겠어도 우리나라는 해산물 없이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해산물을 너무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이번 사건은 문제 없길 바라고, 또 전문가들이 문제 없다고 목소리 내어주니 안심이 되기도 합니다.
한국원자력원구원 홈페이지 – https://www.kae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