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청룡의 해가 밝았습니다. 공휴일은 언제 몇일인지, 2023년과는 무엇이 달라졌는지
간단하게 정리 해 보았습니다. 참고하시고 2024년을 준비해봅시다.
월 | 명칭 | 날짜 | 요일 |
1 | 신정 | 1월1일 | 월 |
---|---|---|---|
2 | 설날(연휴) 대체공휴일 | 2월9일 ~ 11일 2월 12일 | 금,토,일 월 |
3 | 삼일절 | 3월 1일 | 금 |
4 | 22대 국회의원 선거 | 4월 10일 | 수 |
5 | 어린이날 대체공휴일 부처님오신날 | 5월 5일 5월 6일 5월 15일 | 일 월 수 |
6 | 현충일 | 6월 6일 | 목 |
7 | X | ||
8 | 광복절 | 8월 15일 | 목 |
9 | 추석(연휴) | 9월 16일 ~ 18일 | 월,화,수 |
10 | 개천절 한글날 | 10월 3일 10월 9일 | 목 수 |
---|---|---|---|
11 | X | X | |
12 | 크리스마스 | 12월 25일 | 수 |
2024년의 빨간날은 총 119일 입니다.
작년 2023년의 빨간날은 총 117일로 작년보다 2일 늘었네요.
3일 이상 쉴 수있는 연휴는 5번입니다.
둘째 이상 자녀 출산시 첫만남이용권 지원금액 | 0~1세 자녀 양육 가구 부모급여 | 미숙아 /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소득요건 | |
0세 | 1세 | ||
300만원 | 100만원/월 | 50만원/월 | 폐지 |
0 ~ 2세반 어린이집 지원 | 어린이 휴일(~최소 18시) 야간(~최소 24시) 진료 | |
정원 미달시에도 정원기준 지원 (단, 현원 50%이상) | 24시간 소아전문 상담센터[5개소] 의료상담 | 달빛어린이병원 [45개소] |
출산가구 저리 융자지원 소득요건 대폭 완화 (1.3억원 이하) | 출산가구 특별공급 | |
주택구입 | 전세자금 | |
주택가액 9억이하, 5억 한도 | 보증금 5억 이하, 3억한도 | 분양 특별공급, 임대 우선배정 신설 |
육아휴직 기간 연장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시) | 맞돌봄 특례지원 확대 (영아기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 사용시)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원 확대 (중소기업 근로자) |
최대 18개월 | 최대 450만원 / 6개월 | 10일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 업무 분담 지원금 (육아기 단축 근로자 동료) |
12세 이하, 최대 36개월, 주 10시간 내 100% 급여 지원 | 업무분담 시 월 20만원 지원 |
(사전검진) 가입력 검진 | 냉동난자 이용 보조생식술 지원 | (중소기업 근로자) 난임휴가 |
검진비 5 ~ 10만원 지원 | 회당 100만원 (최대2회) | 유급 2일 |
가족돌봄 청년 | 고립은둔 청년 | |
가족돌봄 서비스 바우처 기간 확대 (월 70만원) | 신체 / 정신건강 개선 자기돌봄비 | 방문상담, 공동생활 경험 가족관계회복 등 지원 |
12개월 | 분기당 50만원 (연 최대 200만원 지원) | 청년 320명, 가족 640명 |
자립수당 (18세 이후 보호종료 청년) | NEET 청년 플랫폼 | 첨단산업 훈련지원 | 빈일자리 취업 장려금 (조선, 물류 등) | |
50만원 / 월(5년간) | 10개소 | 특성화대학 아카데미 | 한미첨단분야 청년교류 | 최대 200만원 (6개월간) |
반도체 / 이차전지 2.450명 | 300명 |
대중교통 요금 할인 ‘K-PASS’ (월20회 초과 탑승시, 7월 도입) | 기술자격시험 응시 (산업인력공단 수행 493개) | 기초 / 차상위계층 국가장학금 | 공동주택 | |
청년 30% 할인 (일반 20%, 저소득층 53%) | 응시료 50% 할인 (최대 3회/연) | 전액지원 | 분양 | 임대 |
6.7만호 | 5.7만호 |
초급간부 | ||||
관사 / 간부 숙소 | 복무장려금 | |||
노후시설 전량개선 | 건립 | 지원액 인상 | 대상확대 | |
4.2만개 | 1.9만개 | 장교 | 부사관 | |
1.200만원 | 1.000만원 | 대학졸업 학사장교까지 포함(7.441명) |
병 | ||
봉급(병장기준) | 사회진출 지원금 | 복무환경 |
125만원/월 | 40만원 | 얼음정수기(1.5만개) 및 플리스형스웨터(전 장병) 지급 |
노인일자리 수당 6년만에 월 +2 ~ 4만원 인상 | 노인일자리 수 | |
공익형 (교통도우미, 보육시설 봉사 등) | 사회서비스형 (학습보조, 공공행정 지원 등) | |
월 29만원 (30시간) | 월 63.4만원 (60시간) | 103만명(+14.7만명) (노인인구의 10.3% 수준) |
기초연금 (65세 이상, 소득하위 70%) | 중점 돌봄 독거노인(5.7만명) 돌봄서비스 확대 (가사, 병원동행 등) | 응급안전 관리요원 확충 (독거노인, 조손가구 등) | |
기준연금 | 지급인원 | 시간 | |
월 33.4만원 | 700.6만명 | 월 20시간 | 766명 |
보훈 보상금 (독립 유공자,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 | 참전 명예수당 (6.25전쟁 및 월남전 참전유공자) | 보훈 트라우마센터 설립 |
월 368만원 (상이유공자 1급 1항 기준) | 월 42만원 | 보훈병원 연계 심리상담-치료 서비스 |
국가유공자 진료 위탁병원 확대 | 히어로즈 패밀리 (전몰/순직군경 유가족 중 미성년자) | 참전용사 예우 강화 (월남전 참전유공자) |
840개 | 직종별 교류캠프(연 2회), 문화예술 스포츠관람(연간 60만원) | 제복 증정 |
생계급여 | 주거급여 | ||
최대 급여액 (4인가구 기준) | 지원대상 (중위소득) | 최대 급여액 (서울, 4인가구 기준) | 지원대상 (중위소득) |
월 183.4만원 (+21.3만원, 13.2%▲) | 32% 이하 (+3.9만가구, 신규지원) | 52.7만원 (+1.7만원) | 48%이하 (+2만 가구 신규 지원) |
의료급여 (중증장애인) | 교육급여 (중위소득 50%이하) | ||
초등학생 | 중학생 | 고등학생 | |
폐지 | 46.1만원 | 65.4만원 | 72.7만원 |
최중증 발달장애인 단계별 1:1 돌봄 |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확대 | 중증장애아 돌봄지원 (학습/놀이활동 지원) | ||
그룹형 (주간) | 개별 (주간) | 24시간 | ||
1500명 | 500명 | 전국확대 (340명) | 12.4만명 | 월 90시간 |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 장애인 연금 | 장애인 취업성공 패키지 (취업계획 수립-훈련-취업까지 통합지원) |
16개 | 최대 월 41.4만원 | 1.3만명 |
저소득 다문화자녀 교육활동비 (중위소득 50 ~ 100%) | 다문화자녀 특화 직업훈련 |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 한부모가족 양육비 지원대상 확대 (+3.2만명) |
초등학생 40만원 중학생 50만원 고등학생 60만원 | 200명 | 1.500명 | 중위소득 63% 이하, ~ 고등학교 재학 |
이렇게 2024년의 공휴일과 달라지는점을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시고 모두 행복한 한 해 보내시길 바랍니다.
돼지고기를 싫어하는 사람은 얼마 없다. 나이, 국적, 성별 상관없이 모두가 좋아하는 음식이다. 각 나라마다, 지역마다…
보통 건강식품 이라고 생각한다면 브로콜리, 피망 같은 채소의 한 종류를 떠올리거나 생선류의 어느 한 종을…
AI의 발전 속도가 무서울 정도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10년 뒤는 어떨까요? 이제는 AI가 무엇을 할…